대덕구장애인자립생활센터

유틸메뉴
홈으로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자유게시판

비경활 장애인 157만명, “일할 생각 없다” 상세보기

비경활 장애인 157만명, “일할 생각 없다” 상세내용
제목 비경활 장애인 157만명, “일할 생각 없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12-17 조회수 1341


비경활 장애인 157만명, “일할 생각 없다”



86.2%가 향후 계획 無…직업훈련·취업서비스 ‘NO’



15세 이상 경활률 52.5%, 중증장애여성 가장 열악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8-12-14 13:24:11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지난 1월 중증장애인 노동권 확보를 외치고 있다.ⓒ에이블뉴스DB 에이블포토로 보기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지난 1월 중증장애인 노동권 확보를 외치고 있다.ⓒ에이블뉴스DB
올해 만 15세 이상 등록장애인 249만5043명 중 구직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가 63%에 달하는 157만2146명로 조사됐다.

이들 중 86.2%가 향후 일할 의사조차 없었고, 원하는 취업지원서비스가 있냐는 질문에도 ‘없다’고 답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2018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를 발간했다.

우리나라 만 15세 이상 등록장애인은 총 249만5043명이며, 15~64세 장애인에 대한 경제활동상태를 추정하면, 취업자 64만2738명으로 경제활동참가율 52.5%, 고용률은 49%, 실업률은 6.8%였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만 15세 이상 등록장애인 중 37%(92만2897명)가 취업, 실업의 형태로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지난해 보다 1.7% 하락한 수치로, 전체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 63.9%에 비해 현저히 낮다.

취업자는 86만1648명으로 고용률은 34.5%, 실업자는 6만1249명으로 실업률은 6.6%이다. 전체인구에 비해 실업률은 약 1.65배 높은 수준이다.

성별로 보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인구는 24만3203명, 경활률(경제활동참가율) 23.1%로 남성(47.1%)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반면 실업률은 1.1% 높았다.

15~29세 청년층의 경우 실업률은 12.3%로 타 연령에 비해 높았으며, 60세 이상 고령장애인의 고용률은 22.9%로 가장 낮았다.



장애인 경제활동상태 추정-장애정도별, 성별(2018년 5월 기준). 중증장애여성이 가장 열악한 수준이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에이블포토로 보기 장애인 경제활동상태 추정-장애정도별, 성별(2018년 5월 기준). 중증장애여성이 가장 열악한 수준이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정도 별로 보면, 중증장애인의 경제활동인구는 17만3653명으로, 경활률은 22.1%인 반면, 경증장애인은 74만9244명, 43.9%로 2배 이상 높았다.

실업률은 중증이 8.4%로 경증 6.2% 보다 2.2% 높게 나타났다.

여기서 중증장애인은 1~2급에 해당하는 장애인과 뇌병변, 시각, 지적, 자폐성, 정신, 심장, 호흡기, 뇌전증 및 팔에 장애가 있는 지체장애인 3급이 해당한다.

특히 중증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17.4%, 실업률 8.6%, 고용률 15.9%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률은 중증 여성장애인이 8.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애유형별 경제활동상태를 살펴보면, 지체장애를 제외한 신체외부장애인(뇌병변장애, 안면장애)의 고용률은 12.7%로 지체장애인(42.5%), 시각장애인(41.4%), 시각 외 감각장애인(31.8%), 신체내부장애인(24.8%), 정신적 장애인(20.6%) 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실업률의 경우 신체외부장애인(뇌병변장애, 안면장애) 12.5%, 정신적 장애인 10.6%, 시각장애인 7.2%, 신체내부장애인 6%, 시각 외 감각장애인 5.9% 순으로 나타나, 이러한 유형의 장애인들이 경제활동참여 이후에도 직장을 얻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취업자 86만1648명의 종사상 지위를 살펴보면, 임금근로자는 58만3095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67.7%이며, 비임금근로자는 278,553명으로 3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임금근로자 비중은 2017년 대비 2.1% 증가한 수치이다.

전체 인구의 임금근로자 비중은 74.6%로 장애인(67.7%)에 비해 6.9% 높게 나타나, 장애인의 비임금근로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장애인 취업자의 세부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 38.7%,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21.8%, 임시근로자 18.6%, 일용근로자 10.4%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장애인 경제활동상태 구성(15세 이상 인구, 2017년 조사 비교).ⓒ한국장애인고용공단 에이블포토로 보기 장애인 경제활동상태 구성(15세 이상 인구, 2017년 조사 비교).ⓒ한국장애인고용공단
반면, 구직활동도 전혀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는 157만2146명에 달했다. 이중 15~64세 구간의 비경제활동인구는 62만2851명으로, 47.5%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자‘의 비율은 1.2%로 전년에 비해 비율이 0.1% 증가했으나 전체 인구(4.3%)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주 일할 의사가 있었는지 살펴본 결과, 전체 비경제활동인구 중 지난 주 직장(일)을 원한 사람은 총 6.4%로 2017년 대비 0.9% 감소했다.

이 중 실제로 직장(일)이 주어지면 일을 할 수 있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 비경제활동인구의 4.7%로 나타났다.

구직하지 않은 주된 이유는 전체의 40.9%가 ‘장애로 인해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것 같아서‘라고 응답했다. 이는 2017년의 32.2%보다 8.7% 증가한 수치다.

이어 ‘원하는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에 맞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10.4%), ‘이전에 찾아보았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8.7%),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8.6%), ‘장애 이외의 질병이나 사고로(건강문제)’(7%),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고용주가 채용하지 않을 것 같아서’(6.5%)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향후 일할 의사가 있는 비경제활동인구는 13.8%에 불과했다. 나머지 86.2%는 앞으로도 일할 의사가 없는 것.

일할 의사가 있는 비경제활동인구 절반은 ‘단시간 또는 단순근로’ 수준이 가능하다고 봤으며, 정부에서 창출한 정부재원지원 일자리를 희망했다. 90.6%가 임금근로를, 51.8%가 시간제 근로형태를 원했다.

그 이유로는 ‘장애, 건강 등 개인사정’이 88.2%나 차지했다. 취업 또는 고용서비스 욕구 조사에서는 69.4%가 ‘특별히 없다’고 답했고, 취업지원서비스 제공시 즉시 참여하겠다는 사람은 58.9%, 참여하지 않겠다는 응답도 41.1%나 달했다.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참여하겠단 비율도 49.2%로, 참여를 원하지 않은 사람이 50.8%로 더 많았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슬기 기자 (lovelys@ablenews.co.kr)
첨부파일 -

댓글

비경활 장애인 157만명, “일할 생각 없다” 댓글목록
No 댓글내용 작성자 작성일 기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