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구장애인자립생활센터

유틸메뉴
홈으로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자유게시판

새해 눈에 띄는 광역시도 장애인 정책 상세보기

새해 눈에 띄는 광역시도 장애인 정책 상세내용
제목 새해 눈에 띄는 광역시도 장애인 정책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1-04 조회수 1130


새해 눈에 띄는 광역시도 장애인 정책



신장장애인 의료비, 미세먼지 마스크 지원



발달장애인 전용도서관 운영 등 ‘각양각색’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9-01-03 18:13:44


건강검진을 받고 있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 ⓒ에이블뉴스DB<br />
에이블포토로 보기 건강검진을 받고 있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 ⓒ에이블뉴스DB
전국의 광역시도는 올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안정적 자립기반 마련을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장애인이 누구나 편안하게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서울의료원을 장애친화 건강검진 기관으로 지정, 운영한다. 서울의료원은 장애특화 건강검진 장비를 구비해 운영하며 이 외에도 주차장, 출입구 등 장애인 이동동선 내 편의시설을 개선한다.

비치되는 장애특화 검진장비는 휠체어 체중게, 장애특화 신장계, 체성분기계, 특수휠체어, 진료대(높낮이, 등받이 각도 조절 가능), 시각장애인을 위한 영상확대 비디오, 점자프린터, 이동형 침대 등이다.

서울시민 중 등록장애인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건강검진기본법에 따라 장애인 건강검진 보조 등의 서비스를 적용받는 1~3급 중증장애인은 별도 서비스가 지원되므로 장애은 등록증을 지참해야 한다.

발달장애인, 경계선 지능 등 독서와 정보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느린학습자를 위한 ‘시끄러운 도서관’도 시범운영한다. 시끄러운 도서관은 느린학습자들이 소리내 자유롭게 책을 읽고, 활동파트너와 이야기를 나누는 독서 커뮤니케이션에 제약이 없는 도서관을 일컫는다.

도서관은 느린학습자를 위한 쉬운 글 도서를 기획·제작·배포하는 역할을 맡는다. 쉬운 글 도서는 느린학습자의 생활연령과 인지능력에 맞춰 기존의 도서나 문서의 스토리와 디자인을 모두 재구성한 책이다.

이 도서를 통해 연령에 맞는 정보를 알맞은 시기에 얻음으로써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인천시는 호흡기를 통해 들어오는 황사와 미세먼지로부터 장애인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미세먼지 마스크(2만개 한정수량)를 지원한다.

배부처는 인천 중구장애인종합복지관, 동구한마음장애인종합복지관, 미추홀구장애인종합복지관, 인천시각장애인복지관, 인천장애인종합복지관 등 10곳이다.

부산시는 장애인의 자립과 사회참여를 도모하고 가족의 돌봄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활동지원서비스 추가급여 지원사업을 실시한다. 월 20~120시간(최대 330시간)을 제공해 활동지원서비스 24시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부산시는 올해부터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위한 ‘저상버스 예약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교통약자가 탑승할 저상버스를 스마트폰 앱을 이용, 직접 선택·예약하는 시스템이다.

저상버스 예약은 부산버스정보 앱 실행, 교통약자 메뉴 선택, 정류소검색, 버스 검색을 한 뒤 운행 중인 해당 노선의 차량을 선택하면 예약한 내용이 버스기사에게 실시간 자동 전달된다.

운수종사자는 운전자 단말기를 통해 예약 내용을 확인하고, 사전에 정류소 탑승자를 확인한 후 정류소 진입 시에는 교통약자가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차량 정차에 유의하는 등 교통약자를 배려할 수 있다.

제주도는 올해부터 장애인 등이 이용함에 불편이 없도록 자동문을 설치하고, 접근성이 강화된 최신형 무인민원발급기를 구입해 365일 24시간 연중 서비스를 제공한다.

눈여겨 볼만한 자체사업은 신장장애인 의료비 지원이다. 이 사업은 신장장애인 가운데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대상자에게 의료비를 지원해 가계부담을 덜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다.

의료비 지원대상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차상위 계층이면서 등록된 신장장애인이다.

지원은 투석비용 중 본인부담액의 50%, 이식검사비 중 본인부담액 최대 100만원이다. 단, 복막투석은 해당 장애인이 병원으로 영수증을 제출한 후 혈액투석과 같이 청구해야 한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근로 장애인에게는 인건비가 지원된다.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재정부담을 경감하고 장애인의 고용유지 및 확대를 통한 자립생활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다.

대상은 도내 장애인직업재활시설 10개소 근로 장애인이며, 근로장애인 1인당 월 35만원에서 65만원(중·경증, 여성·남성에 따라 구분)이 지원된다.

울산시는 사전예약자에 한해 야간(22시~07시)운행하던 장애인콜택시를 휠체어 사용 장애인에게 한해 24시간 확대·운영한다. 비휠체어 사용 장애인은 종전처럼 사전 예약을 해야 야간에 탑승할 수 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최석범 기자 (csb211@ablenews.co.kr)
첨부파일 -

댓글

새해 눈에 띄는 광역시도 장애인 정책 댓글목록
No 댓글내용 작성자 작성일 기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